반응형
📦 “이게 뭐였더라?” 수집 후 막막한 당신에게
광물을 하나둘 수집하다 보면,
“이건 어디서 주웠더라?”, “이게 석영인가, 방해석인가?”
헷갈리기 쉽습니다.
제대로 분류하고 보관하는 습관이야말로 진짜 광물 수집의 출발점입니다.
🧭 광물 분류, 이렇게 시작해보세요
1. 채집 장소와 날짜 기록
- 장소: 강원도 정선 ○○계곡
- 날짜: 2025년 5월 5일
- 위치: 하천변 자갈 밭
- 특징: 투명하고 육면체 구조
📌 스마트폰 메모, 종이 라벨, 전용 기록지 활용을 추천합니다.
2. 외형 특징으로 구분하기
구분 기준 | 확인 방법 | 예시 |
---|---|---|
색상 | 투명, 흰색, 검정 등 | 석영(투명), 자철석(검정) |
결정 형태 | 육면체, 판상 등 | 형석(입방체), 흑운모(판상) |
경도 | 동전, 유리 등으로 긁기 | 석고(1~2), 석영(7) |
광택 | 유리광, 금속광 등 | 방해석(진주광), 황철석(금속광) |
조흔색 | 도기판에 긁기 | 자철석(검정), 황철석(회회색) |
3. 광물 도감과 온라인 정보 활용
- 📘 한국의 광물 도감, 초보자 가이드북
- 🔍 네이버 지식백과, mindat.org
- 📱 Rock Identifier 앱도 유용
🏷 라벨링은 필수입니다
광물마다 번호, 이름, 장소, 날짜를 라벨지에 써서 부착하세요.
예: No.003 / 형석 / 전북 무주 / 2025.04.20
📚 광물 보관, 어떻게 할까?
① 종이 상자 + 완충재
- 계란판 형태 상자, 보석함 사용
- 스펀지, 솜, 부직포 활용
② 햇빛·공기·수분 차단
- 불투명 박스, 밀폐 수납함 추천
- 산화나 탈색 방지
③ 습도 관리
- 실리카겔 또는 숯 함께 보관
④ 전시용 케이스
- 투명 플라스틱 박스 + 라벨
- 감상용, 전시용으로도 활용 가능
🎨 예쁜 보관은 수집의 기쁨
광물 수집은 정리와 보관까지 포함된 취미입니다.
촬영하여 디지털 앨범으로 만들어도 좋아요.
🗂 다음 편 예고
다음 ⑤편에서는 광물 동호회, 체험 프로그램, 교환 시장을 소개합니다.
반응형